본문 바로가기

환경방사능감시

규제대상
해양환경방사능 감시
우리나라 주변 해역(연안에서 약 300㎞까지)의 해수(40개 지점)와 해양 생물(80개) 및 해저퇴적물(15개) 시료를 주기적으로 채취·분석 및 공개
전국토환경방사능 감시
우리나라 전역에 방사선감시소(214개)를 설치하여 환경방사선의 선량률을 측정하여 공개
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능 조사
원자력시설 주변의토양, 하천토양, 대기, 빗물, 지하수, 곡류, 어류 등의 시료를 채취하여 방사능 농도 분석 및 감시
규제절차

규제절차 아래 내용 참고

  • 1. 조사계획서 승인,변경신청 방사선환경감시 연보 제출 환경방사선/능 일시증가 보고 - 사업자
  • 2. 검토 의뢰 - 원자력안전위원회
  • 3. 조사계획서, 연보 검토 일시증가 원인 분석 검토 -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
  • 4. 검토결과 제출 -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
  • 5. 승인(시정조치 요구) - 원자력안전위원회
  • 6. 이행·변경(시정보완조치) - 사업자
규제활동

규제활동 아래 내용 참고

  • 중앙방사능측정소 및 지방방사능 측정소 운영 - 해양환경방사능 감시, 전국토환경방사능 감시, 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능 조사
  • 우리나라 주변해역 방사능 조사 - 해양환경방사능 감시
  • 전국토 환경방사선/능 감시 - 전국토환경방사능 감시
  • 시설 주변방사선환경 확인 감시 - 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능 조사
  • 후쿠시마 오염수 감시감화 시망 운영 및 정보 공개 - 해양환경방시능 감시, 전국토환경방사능 감시
  • 환경방사선/능 심·검사 - 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능 조사
  • 방사능 분석결과 품질관리 - 해양환경방사능 감시, 전국토환경방사능 감시
  • 사업자 분석결과 신뢰성 확인 - 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능 조사
  • 환경방사능조사 결과 공개 - 해양환경방사능 감시, 전국토환경방사능 감시, 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능 조사
  • 방사능 사건/사고 영향평가를 위한 방사능 분석 - 해양환경방사능 감시, 전국토환경방사능 감시, 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능 조사
안전정보
해수방사능 분석결과

- 연간보고서 발간 이전 표층해수에 대한 최근 분석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- 시료채취 및 방사능분석을 통해 확인되는 자료로 시료채취 시기와 분석결과 확인시기에 차이가 있습니다.

해수방사능 분석지점

- 지도의 지점을 누르면 표층해수 방사능 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해수방사능 분석지점 일반정점 해수(34개) 강화정점 해수(6개)
  • 일반정점 : 107-07, 106-02, 106-02, 104-04, 103-11, 102-04, 209-08, 208-01, 106-05, 207-03, 206-01, 205-05, 204-02, 203-03, 314-01, 313-09, 315-22, 316-13, 316-22, 317-13, 317-22, 312-02, 311-09, 310-03, 309-09, 308-01, 307-09, 318-20, 318-15, 312-09, 313-04, 400-25, 400-13, 316-16, 317-16
  • 강화정점 : 314-03, 314-08, 315-13, 315-18, 104-11, 105-11
107-07(일반정점) 106-02(일반정점) 104-04(일반정점) 103-11(일반정점) 102-04(일반정점) 209-08(일반정점) 208-01(일반정점) 106-05(일반정점) 207-03(일반정점) 206-01(일반정점) 205-05(일반정점) 204-02(일반정점) 203-03(일반정점) 314-01(일반정점) 313-09(일반정점) 315-22(일반정점) 316-13(일반정점) 316-22(일반정점) 317-13(일반정점) 317-22(일반정점) 312-02(일반정점) 311-09(일반정점) 310-03(일반정점) 309-09(일반정점) 308-01(일반정점) 307-09(일반정점) 314-03(강화정점) 314-08(강화정점) 315-13(강화정점) 315-18(강화정점) 104-11(강화정점) 105-11(강화정점) 318-15(일반정점) 318-20(일반정점) 312-09(일반정점) 313-04(일반정점) 400-25(일반정점) 400-13(일반정점) 316-16(일반정점) 317-16(일반정점)

전국주요 연안해역의 해양방사성 물질조사정보확인

해양 환경방사능 감시 정보확인

표층해수 방사능 농도

표층해수 방사능 농도
핵종 단위 20년 범위 21년 범위 최근 5년간 변동범위
(2016~2020)
세슘137 mBq/kg 0.868~2.03 0.828~2.09 <0.821~2.74
삼중수소 Bq/L <0.106~0.318 <0.102~0.430 <0.0577~0.318

< : 최소검출가능농도(MDA) 미만의 값

해양환경방사능 감시내용
해양환경방사능 감시내용
구분 감시대상 감시시기 분석항목 정점수
해수 표층해수 매월1) 137Cs 40
매분기 3H 40
년1회 239+240Pu, 240Pu/239Pu 22
년1회 90Sr 16
수심별 해수 반기 137Cs 6
년1회 3H 6
년1회 90Sr, 239+240Pu, 240Pu/239Pu 3
해양생물 어류 반기 137Cs, 40K 80
년1회 90Sr, 239+240Pu, 240Pu/239Pu 3
패류 반기 137Cs, 40K 7
년1회 90Sr, 239+240Pu, 240Pu/239Pu 3
해조류 반기 137Cs, 40K, 131I 7
년1회 90Sr, 239+240Pu, 240Pu/239Pu 3
퇴적물 해저퇴적물
0~5㎝
년1회 137Cs, 40K 15
년1회 90Sr, 239+240Pu, 240Pu/239Pu 6

1) 제주남방해역 4개 정점(314-03, 314-08, 315-13, 315-18) 월 2회 조사, 울릉도 부근해역 2개 정점(104-11, 105-11)은 월 1회 조사, 그 외 정점은 연 6회 조사

환경방사선/능 감시 및 조사내용
환경방사선/능 감시 및 조사내용
구분 감시대상 분석항목 감시주기 시료채취
중앙측정소

공간감마선

"

강 수

우 유

공간감마선량률

집적선량(TLD)

3H

감마핵종

90Sr

연 속

매분기

매 월

매 월

연2회(반기)

자동감시망

중앙/지방/군연계방사능측정소 MP

중앙방사능측정소 MP

대전인근 지역

지방측정소

공간감마선

대기부유진

"

"

공 기

낙 진

강 수

수돗물

공간감마선량률

전알파/베타

전베타

감마핵종

방사성요오드(Charcoal)

감마핵종

전베타/감마핵종

감마핵종

연 속

연 속

매 주

매주/매월

매 주

매 월

강수시/매월

매 월

지방방사능측정소 MP

토양

쌀, 배추

지표식물

(토양)

감마핵종

연 2 회

연 1 회

연 1 회

해당측정소 MP

관할지역 생산품

쑥, 솔잎

(쑥, 솔잎 채취지점 토양)

공간감마선

토양

공간감마선량률

감마핵종

연 2 회

연 1 회

비상시 공간감마선량률

측정 지점 (5개 지점)

※ 본 정보는 국가환경방사능 자료관리 시스템(CLEAN)에서 제공되었습니다.

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선/능 감시 내용
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선/능 감시 내용
시료명 분석항목 분석주기 지점 수
방사선 조사 공간감마선량률 공간감마선량률 연속감시 각 원전시설 주변 1개소
집적선량 집적선량 매 분 기 원전시설별 12개, 처분시설 5개 지점
방사능 분석 환경 시료 토양 감마동위원소,
90Sr, 239Pu, 240Pu,
234U, 235U, 238U
연 2 회
연 1 회
연 1 회
원전시설별 5~7개, 처분시설 1개 지점
원전시설별 2개, 처분시설 1개 지점
대덕시설 3개, 처분시설 1개 지점
해저퇴적물, 하천토양 감마동위원소,
90Sr, 239Pu, 240Pu,
234U, 235U, 238U
연 2 회
연 1 회
연 1 회
원전시설별 2∼6개, 처분시설 1개 지점
원전시설별 2∼6개, 처분시설 1개 지점
대덕시설 2개, 처분시설 1개 지점
대기 3H, 14C 매 월 월성원전 주변 2개 지점
3개 원전 주변 1개 지점
솔잎 3H, 14C 월성원전 주변 2개 지점
처분시설 1개 지점
물 시료 해수 감마동위원소, 3H,
90Sr, 239Pu, 240Pu
매 분 기
연 2 회
원전시설 취·배수구 3∼8개,
처분시설 1개 지점 (대덕 제외)
지하수 감마동위원소*, 3H*,
90Sr, U 및 Pu 동위원소,
99Tc
연 2 회 처분시설 3개 지점
지표수 감마동위원소 매 분 기 대덕시설 1개 지점
빗물 감마동위원소,
3H
매 월 대덕시설 2개 지점
각 원전시설 기상관측소
(월성원전: 거리별 5개 지점)
식품 시료 우유 감마동위원소,

90Sr
3H, 14C
매 분 기

연 2 회
매 월
각 원전시설별1개 목장
대덕시설 1개 목장
원전시설별 1개 목장(한울제외**)
월성원전 주변 1개 목장
배추 감마동위원소 연 1 회 원전시설별 2개 지점
감마동위원소 연 1 회 원전시설별 2개 지점
해양 시료 어류 감마동위원소 연 2 회 원전시설별 2∼3개 지점(대덕제외)
해조류 감마동위원소 연 2 회 원전시설별 2∼3개 지점(대덕제외)

※ 본 정보는 국가환경방사능 자료관리 시스템(CLEAN)에서 제공되었습니다.

*) 원전시설 2개 지점 포함

**) 목장폐쇄로 시료채취 불가

해양환경방사능 조사보고서
해양환경방사능 조사보고서
번호 제목 파일 담당자 등록일

※ 본 정보는 국가환경방사능 자료관리 시스템(CLEAN)에서 제공되었습니다.